Why GED
home
WHY GED Why GED
글로벌엘리트학부 소개
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는 2007년 대한민국 최초로 레지덴셜 컬리지(RC)를 도입한 이래, 미래형 글로벌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학제 간 연계교육의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왔습니다.
최근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문화 및 경제 분야 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제고됨에 따라, 글로벌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이 요청되고 있습니다. 2016년 융합전공학부로 신설된 글로벌엘리트학부(GED)는,
외국인 학생들의 개인 수준에 따른 한국어 과목과 영어 과목을 제공하며 전공에서 필요한 기초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있습니다.
글로벌엘리트학부는 문화산업관리, 글로벌 산업관리,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, 재활치료학 4개의 학부 전공을 운영하며, 졸업 후의 진로와 연관되는 학문을 자기설계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글로벌엘리트학부는 우수한 외국인들과 재외교포들에게 한국 내의 지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사회를 선도할 글로벌 엘리트로의 성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
해당 외국인 및 재외국민
초급대학한국어(GED1005)
언어와생활(GED1006)
한국문화입문(GED1007)
비즈니스한국어(GED2009)
중급대학한국어(GED1008)
언어와사회(GED1009)
한국문화의이해(GED1010)
텍스트커뮤니케이션(GED2021)
고급대학한국어(GED2001)
한국사회의이해(GED2002)
학술콘텐츠의이해(GED2023)
한국사회와문화(GED2003)
글로벌사회문화(GED2004)
학술프레젠테이션(GED2022)
문화산업관리
글로벌산업관리
디지털미디어디자인
재활치료학
⦁한류와문화커뮤니케이션(GED3063)
⦁글로벌ESG(GED3130)
⦁대중문화와 문화콘텐츠(GED2020)
⦁의학용어(GED3083)
⦁이미지기호학(GED3073)
⦁글로벌윤리경영(GED3131)
⦁영상콘텐츠제작의이해(GED3050)
⦁아동발달과평가(GED3118)
⦁경영학개론(GED3084)
⦁글로벌타당성평가(GED3132)
⦁무빙이미지기초(GED3088)
⦁인체검사학(GED3119)
⦁글로벌산업재무회계기초(GED3082)
⦁글로벌중급회계(GED3133)
⦁2D디지털애니메이션기초(GED3113)
⦁재활치료학개론(GED3120)
⦁문화간커뮤니케이션(GED4004)
⦁글로벌기초재무분석(GED3134)
⦁기초시각표현기법(GED3114)
⦁해부학(GED3121)
⦁브랜드인문학(GED3064)
⦁글로벌원가관리(GED3135)
⦁뉴미디어디자인실습(GED3115)
⦁심리학개론(GED3143)
⦁아시아신화와상징(GED3079)
⦁글로벌조직인사(GED3136)
⦁스토리텔링과웹툰(GED3116)
⦁재활치료학개론(GED3144)
⦁문화산업의이해(GED3111)
⦁4차산업의이해(GED3167)
⦁미술과미디어디자인의이해(GED3117)
⦁물리치료학(GED3145)
⦁경영자료분석(GED3062)
⦁국제시장의이해(GED3168)
⦁3D애니메이션기초(GED3137)
⦁작업치료학(GED3146)
⦁글로벌서비스경영(GED3071)
⦁글로벌에티켓(GED3169)
⦁게임디자인기초(GED3138)
⦁근골격계재활치료학(GED3176)
⦁몸과문화컨텐츠(GED3080)
⦁글로벌산업동향(GED3186)
⦁게임그래픽제작입문(GED3139)
⦁신경계재활치료학(GED3177)
⦁설득커뮤니케이션(GED3081)
⦁글로벌시장경제(GED3187)
⦁가상현실미디어디자인(GED3140)
⦁한의재활치료학(GED3178)
⦁한국대중매체와담화분석(GED4003)
⦁세계화와경제기구(GED3188)
⦁몰입형미디어디자인(GED3141)
⦁아동재활치료(GED3189)
⦁문화콘텐츠와한중번역실습(GED3053)
⦁다국적기업회계(GED3197)
⦁메타버스컨텐츠디자인(GED3142)
⦁언어치료학(GED3190)
⦁MICE산업의이해(GED3077)
⦁국제회계감사(GED3200)
⦁디지털드로잉(GED3170)
⦁정신건강재활치료학(GED3191)
⦁글로벌오퍼레이션관리(GED3061)
⦁디지털미디어프로젝트(GED3171)
⦁비즈니스의사소통관리(GED3075)
⦁디지털사진(GED3172)
⦁문화사업데이터분석(GED3067)
⦁사운드디자인의이해(GED3173)
⦁프리젠테이션과중한통역실습(GED3074)
⦁애니메이션스튜디오(GED3174)
⦁문화교류와번역(GED3045)
⦁영상디자인(GED3175)
⦁언어와문화콘텐츠(GED3055)
⦁게임엔진기반콘텐츠개발기초(GED3201)
⦁동아시아문자와문화콘텐츠(GED3046)
⦁디지털오디오합성과디자인(GED3202)
⦁한국문화의이해와동아시아의교류(GED3006)
⦁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기초(GED3203)
⦁문화산업의세계화와리스크(GED3085)
⦁컴퓨테이셔널디자인과크리에이티브코딩(GED3204)
⦁글로벌경영전략(GED3047)
⦁글로벌마케팅(GED3013)
⦁문화산업회계와세무(GED3086)
⦁문화산업정책론(GED3109)
⦁상품과공간으로보는한국문화사(GED3049)
⦁한국역사의유산과문화산업(GED3065)
⦁동아시아의대중문화와소비플랫폼의변화(GED3069)
⦁동아시아문화콘텐츠장르와감정의이해(GED3078)
⦁인포메이션스토리텔링(GED3042)
⦁조직행동과문화경영(GED3051)
⦁동아시아도시문화콘텐츠의이해(GED3048)
⦁동아시아문화의디자인씽킹과브랜딩(GED3070)
⦁문화프로젝트관리(GED3066)
⦁중국문화의이해Ⅰ(GED1016)
⦁중국문화의이해Ⅱ(GED3043)
⦁지속가능한공급망관리와아시아(GED3185)
⦁글로벌물류재고관리(GED3198)
⦁서비스경영전략(GED3199)
⦁디지털시대의문화와경제(GED3110)
글로벌엘리트학부 전공 간 교차 인정 가능한 교과목 (문화산업관리 ↔ 글로벌산업관리)
문화산업관리 (글로벌산업관리 전공과 교차 가능)
글로벌마케팅(GED3013)
글로벌오퍼레이션(GED3061)
글로벌경영전략(GED3047)
글로벌산업관리 (문화산업관리 전공과 교차 가능)
경영학개론(GED3084)
글로벌산업재무회계기초(GED3082)
경영자료분석(GED3062)
글로벌엘리트학부 전공 간 교차 인정 가능한 교과목 (문화산업관리 ↔ 디지털미디어디자인)
문화산업관리 (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과 교차 가능)
몸과문화콘텐츠(GED3080)
이미지기호학(GED3073)
동아시아도시문화콘텐츠의이해(GED3048)
디지털미디어디자인 (문화산업관리 전공과 교차 가능)
미술과미디어디자인의이해(GED3117)
대중문화와 문화콘텐츠(GED2020)
영상콘텐츠제작의 이해(GED3050)
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.